미고결층 분석 방법 및 기원지 분석
분석의 목적
해당 미고결 층은 모암의 풍화 산물인가, 아니면 외래성 퇴적물인가?
(기원지 분석: 하상퇴적물의 주 공급원 (지화학적 접근 ) )
위 질문에 답하기에 도움을 줄수 있는 근거가 무엇이 있을까?
입도
대자율
토색
유기물 함량
토양 발달 지수
전자스핀공명 (ESR)
Y 값 (경험식)
--> 위 분석들은 Dynamics한 환경에서는 활용이 어렵지 않을 까 하는 것이 나의 생각
내 생각에 활용가능한 분석 방법들
X 선 회절 : 광물 분석
주성분 분석 : 상대적 풍화정도 파악, 풍화지수
-> 주성분 성분의 경우 퇴적물의 운반과정에 따른 분급 작용 등으로 광물입자의 크기에 따라 조성이 달라지는 등의 변화가 일어나끼 때문에 기원지 암석과의 직접적 대비가 어려울 수 있다 (2003, 이승구 외).
미량원소 분석 : 상대적 결핍 부화정도
희토류 원소 분석 : 풍화, 속성작용에도 함량 변화 적음 (왜 분포 양상이 변하지 않을까?), 퇴적층의 기원암 또는 기원지 추정에 사용
-> 희토류 원소는 일반적인 외적 요인에 의해서는 분포양상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퇴적무물의 기원지 혹은 기원암을 추적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가 있다 (2003, 이승구 외).
분석에 필요한 기준 : PAAS (시생누대 호주 셰일), UCC(상부대륙지각), 운석(콘드라이트)
분석시 활용할 수 있는 Diagram
일반적으로 토양과 퇴적물의 화학 조성을 직접 조사하는 것은 무리다 (2003, 이승구 외).
Al2O3 - CaO - Na2O - K2O - FeOt 의 조성비를 활용한 삼각도가 기원암과 풍화 연구에 많이 이용된다.
1. A-CN-K
2. A-CNK-FM
3.
산소동위원소 (18O) :
분석에 필요한 기준 : 해수
참고 문헌 : 뢰스지형학 (윤순옥, 2022)
2003, 이승구 외, 희토류원소를 이용한 순창지역 섬진강 수계내 하상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2005, 곽재호 외, 순창 지역 섬진강 지류별 토양 유실량 산정과 하상 퇴적물의 주공급원에 관한 관찰
2008, 이승구 외, 대전지역 황사 (아시아 먼지) 내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지구화학적 특성-근원지 규명을 위한 초기연구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