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과학 세미나: Volcano on Venus

서울대학교 이현우 교수님

Key reference : 
2022, Gillmann et al., The Long-Term Evolution of the Atmosphere of Venus: Processes and Feedback Mechanisms: Interior-Exterior Exchanges

2022, Gravin et al., Revealing the Mysteries of Venus: The DAVINCI Mission

*Stagnant lid 또는 single plate의 지구조인 금성은 Hot-spot 과 관련된 화산활동이 주가 된다. 

*금성의 대기 주요 성분 : CO2, N2, SO2 (황은 쉽게 reactive 한다)
*금성에서 휘발성 기체의 교환
->  Noble gass의 outgassing이 다른 행성체에 비해 덜하다.

*금성 휘발성 기체의 Sink
-> 표면과 가스의 반응

*금성에서 물의 역할

*금성에 과거에 물이 많았을까?
현장과 원격탐사를 통해 확보된 D/H ratio 가 지구의 200배 가된다. 물을 runaway greenhouse effsct로 잃은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GPR siganl processing: AI

Gempy: critical points

Camera data: 화상센서의 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