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era data: Ditigal Surface Model (DSM)

참고문헌: 원격탐사개론, 동화기술


Digital Terrain Model (DTM)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igital Surface Model (DSM)

 

*How to represent the geographical surface

-지형 형상의 표현 방법

1. Contour

등간격의 높이를 가지는 등고선으로 지형을 표현


2. Mesh (격자 점 방법)

수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격자 점의 표고 자료에 의해 지형 형상을 표현하는 방법. 격자 점 이외의 지점의 표고는 주위 격자 점의 표고 자료로부터 내삽한다. 


3.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랜덤 점 방법)

수평면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점의 수평 위치 좌표와 표고 자료에 의해 지형 형상을 표현하는방법. 랜덤한 지점 이외의 지점에 대한 표고는 근접한 랜덤 점의 표고 자료를 내삽한다.  


4. Functional representation

 지표면을 Spline 함수 등으로 곡면으로 표현하는 방법.


-수치 지형 자료 작성방법

1. 측량: 지상 측량, 사진측량, 원격 탐사

2. 기존 지형 도에서 얻는 경우

기존의 지형도의 등고선을 읽어서 지형 표고 자료를 얻는 방법. 지형도 상의 격자점을 배치해서 격자점의 표고를 활용하는 방법


입체시 (Stereoscopy)

어떤 2지점으로부터 중첩 부분이 있도록 대상물(대상 지역)을 촬영한 2개의 화상(스테레오화상 : stereoscopic images)을 준비하고 왼쪽 화상을 왼쪽 눈으로, 오른쪽 화상을 오른쪽 눈으로 보면 대상물리 3차원으로 보인다. 이것을 입체시 (Stereoscopy)라고 한다. 


Stereo mathching 

Stereo parallax

시차 (parallax) : 입체경에 대상물의 입체 모상이 재현 되는 것은 대상물이 각각 좌우 화상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기록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 어긋남을 시차라고 한다. 

 

Vintage aerial photo 

I should know ground sample size.

만약 내가 과거항공사진에 있는 물체의 길이를 알고 있다면, 즉 2010 정사영상에도 그 형태가 온전히 보존 되어 있다면, 그 형태에 포함하는 픽셀수를 그 길이로 나누면, Ground sample size를 알 수 있지 않을까?

 https://gsp.humboldt.edu/olm/Courses/GSP_216/lessons/air-photo.html

https://www.mdpi.com/2072-4292/13/1/2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GPR siganl processing: AI

Gempy: critical points

Camera data: 화상센서의 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