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 July 20, 2023, Professor. Jihoon KIm, Texas_A&M
Thursday, July 20, 2023
Texas A&M University.
석유공학과, 김지훈 교수님
Full-physics simulation
Coupled Simullation (유체 유동 + 역학)
나의 관심...
Cryro-deformation -> Ceres 암염돔 진화 응용?
Fault reactivation -> 김창민 교수님과 Cowork?
Geothermal engineering
Hydrogen storage
지질 매질 -> 불균진, 비선형 -> 수치해석 -> 수렴가능성 확인
한번에 다 풀기 어려우므로 -> 순차적 기법
자체개발과 사용 소프트웨어 혼용하여 사용
시뮬레이션 모사 완료 후
->전산모사기 유효성 검증 -> 실제 필드 물성치 적용
*시뮬레이션이 어디까지 카바 가능한가?
Small Deformation
Large deformation
*시뮬레이션이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 가정하여 수행 가능
*거대 시뮬레이션의 경우 앞부분에서 반복적인 것은 미리 Deep learning 이용해서
모델을 만들어 둔다...
(Sangcheol Yoon's Thesis 참조)
-Gas Hydrate
지반침하 or 가스 생산량
*시추 주상도 해석 모델이 2014 년에서 2017 년으로 가면서 바뀌었다.
-> 내가 한 굴착 단면의 해석의 모델도 달라질 수 있다..
*장기 분지
자체 개발 코드 교차 검증 (with Berkley의 TOUGH2)
(TOUGH: https://tough.lbl.gov/)
flac3d 암반, 흙, 구조물의 역학적 해석을 위한 3차원 연속 해석 프로그램
이희권 박사님도 노력
단층 슬립을 위해 interface element 를 사용
단층을 모사하는 경우 활성되고 있는 단층의 permeability를
몇으로 주어야 하는지 모른다...
--> 현장 측정 혹은 코어링 통해 측정 요구?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