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2, 2023, 김영희 교수님, Planetary seismology
August 2, 2023,
1. Earth seismologoy
*최근에는 Perfect wavefield를 구축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진계를 설치하려는 노력이 있음
(5.4 2008 Chino Hills Earthquake 의 예시)
*Raw data 임에도 자료가 많으면 (많은 지진계) 구조 정보를
확보할 수 있음
-역산 결과이다 보니 어떤 데이터인지 그리고 어떤 방법을 사용 했는지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지만, 모델을 확립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음.
2.Insight 미션
Seis 탑재체에
-SP (Short Period) : 일정 기간만 살리고 전력 조절 문제로 일정 기간 사용후 사용 안 함
-VBB(Very Broad Band) : 끝까지 사용
-APSS (바람 노이즈 측정) : 일정 기간만 살리고 전력 조절 문제로 일정 기간 사용후 사용 안 함
낮 -> 바람이 많아서 -> 노이즈 많음
밤 -> 바람이 적어서 -> 노이즈 적음 -> 의미있는 신호 검출 가능
-한개의 지진계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위치 정밀도가 낮고 관측 한계가 존재한다.
무모함에도 귀중한 자료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 수행
-충돌 소스를 Impact를 활용한 경우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고 깊이는 0 km 로 가정할 수 있어 추가적인 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지하 구조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의 의의가 있음
-달 지진파 관측 자료의 수 > 화성 지진파 관측 자료의 수
-달 지진파 자료에는 내부 산란파로 추정되는 신호들이 많음
-달 지진파 관측이 아주 오래 전에 진행되어서 자료의 질이 낮음
S 파가 지하 매질 온도에 더 민감
다중 반사를 통해서 지하 구조 추정
지금까지 활용이 어려웠던 자료들에 대해서 인공 지능 방법을 통해서 자료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