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3의 게시물 표시

Seminar: July 27, 2023, Professor. Sukjoon Pyun, Inha Univ.

July 27, 2023, Professor. Sukjoon Pyun, Inha Univ. 참고문헌 : 2023, Choi et al., Automatic microseismic signal classification for mining safety monitoring using the Wavenet classifer 이 논문에 대한 발표였음. 자세한 사항은 해당 논문 참조.  데이터: 시계열 데이터  *관심 없는 신호 (드릴링, 정비 작업) 와 관심 있는 신호 (미소 지진)를 효율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목표 *센서의 수가 적고,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환경 *데이터 양이 적은 경우 규칙 기반의 선별 방법 적용 가능. 하지만 데이터 양이 증가하면 예외적인 경우가 많아져서 기계학습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   Label은 대학원생에 의해 수작업...  (작업일지, 일과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목표 신호 등 활용) *학습량을 늘리기 위해서 다른 지역의 자료도 활용. 그냥 수치적 증가 보다는 의미가 있다고 판단 *각 지역간의 취득된 자료의 특징 (수신 신호 길이 차이)의 특징이 달라서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 필요했음 *실시간 분석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파수영역 이용하지 않음 1.ML 모델 학습 방법 은: Radom forest. 고전적인 방법이지만 요즘 Deep Learning이 가지고 있는 Black box의 문제 (즉, 왜 그렇게 됬는지 설명이 어렵다)가 없고 설명가능하다.  Confusion matrix 제시  2. DL 모델  Wavenet 과 SampleCNN 활용 DL 모델 너무 많아서 다 해보지는 못한다.  3. Audience comment 감독 분류 보다 비감독 분류는 어떠한가? (대학원생의 노력을 덜어 줄 수 있지 않은가?) =========================================================== 나의 생각:  나도 ...

Camera data: 화상센서의 기하학

참고문헌: 원격탐사개론, 동화기술 * 화상센서의 기하학 화상자료에 포함되는 기하학적인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상상의 픽셀위치와 대상물과의 위치관계(가하학적인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이 관점에서 화상 센서는 아래와 같이 정리됨 1. 중심투영방식  -Frame sensor : frame camera, TV camera  -Line sensor :  linear array sensor, push broom scanner (SPOT HRV) -Point sensor : optical mechanical sensor (Landsat, MSS, TM) 2. 비중심투영방식 : side looking radar, side scan sonar  *대상물좌표계 (= 3차원 직교좌표계) -센서 투영 중심 위치 : 촬영 시 센서의 투영 중심  -센서 자세 : 회전각으로 정의 주점 (Principal point) : 센서의 투영 중심으로부터 화상 투영 면상에 내린 수선점 공선조건식 (collinearity equation) -센서의 중심위치 및 자세를 구하는 방법 1. 다른 센서로 직접 계측하는 방법 위치 -> GPS, 측량 기구 자세 ->  gyro, star tracker 2. 화상 상에 포함되어 있는 3차원 좌표의 기준점을 이용해서 센서의 중심 위치와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 3차원 좌표의 기준점을 촬영하고 그 화상 좌표를 계측함으로써 촬영 시의 센서중심위치와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즉 기준점의 3차원 좌표 값과 화상 좌표 값과 사이에 공선조건식에 센서 중심의 위치 좌표와 자세가 미지수로서 포함되는 것에 주목해서,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센서의 중심 위치 좌표와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표정 (orientation)이라고 한다. 정밀도가 높은 기준점이 다수 얻어지면 정밀도가 높게 추정할 수 있다.  *기준점 (Ground Control Point) 기준점 : 리모트센싱 화상의 ...

GPR signal processing: Radon transform

 Reference : Chapter 7, Statistical and transform methods in Geophysical signal processing, 2002, Professor  Sacchi, University of Alberta. The Radon Transform and Some of Its Applications https://sites.ualberta.ca/~msacchi/ Dirac delta function: https://books.physics.oregonstate.edu/LinAlg/deltaexp.html https://www.youtube.com/watch?v=6a7_vdjflqg In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Radon transform is called Hough transform. slant stack beam-forming fan filtration Tau-p transform

Seminar: July 20, 2023, Professor. Jihoon KIm, Texas_A&M

 Thursday, July 20, 2023 Texas A&M University.  석유공학과, 김지훈 교수님 Full-physics simulation  Coupled Simullation (유체 유동 + 역학)  나의 관심... Cryro-deformation -> Ceres 암염돔 진화 응용? Fault reactivation -> 김창민 교수님과 Cowork? Geothermal engineering  Hydrogen storage 지질 매질 -> 불균진, 비선형 -> 수치해석 -> 수렴가능성 확인 한번에 다 풀기 어려우므로 -> 순차적 기법 자체개발과 사용 소프트웨어 혼용하여 사용 시뮬레이션 모사 완료 후  ->전산모사기 유효성 검증 -> 실제 필드 물성치 적용 *시뮬레이션이 어디까지 카바 가능한가? Small Deformation  Large deformation   *시뮬레이션이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 가정하여 수행 가능 *거대 시뮬레이션의 경우 앞부분에서 반복적인 것은 미리 Deep learning 이용해서 모델을 만들어 둔다... (Sangcheol Yoon's Thesis 참조) -Gas Hydrate 지반침하 or 가스 생산량 *시추 주상도 해석 모델이 2014 년에서 2017 년으로 가면서 바뀌었다.  -> 내가 한 굴착 단면의 해석의 모델도 달라질 수 있다.. *장기 분지 자체 개발 코드 교차 검증 (with Berkley의 TOUGH2) (TOUGH: https://tough.lbl.gov/) flac3d 암반, 흙, 구조물의 역학적 해석을 위한 3차원 연속 해석 프로그램 이희권 박사님도 노력  단층 슬립을 위해 interface element 를 사용 단층을 모사하는 경우 활성되고 있는 단층의 permeability를  몇으로 주어야 하는지 모른다... --> 현장...

Which research topic should I choose?

이미지
 From Dr. Changsun Kim, JPL  (2023 UST Global mentoring conference) You need to "QUESTION" your advisor "WHY" are you doing your research? "DON'T" assume anyting -What people need is important!!! -Apply this diagram for transition to new field. -When you applying for postoc positions, you had better distinguish academic and national lab. It's challenging because it would be to expand your period of PhD.  -You need to explain what you are capable and which task you can do. -You need to understand what they need.  -You need to know insiders in the future group.

Presentation

reference: https://inside.mines.edu/~dhale/other/KenGuidelinesForSpeaking.html 

GPR interpretation processing: DTW (Dynamic Time Warping)

  reference:  https://leo-bb.tistory.com/58#1.%20DTW https://leo-bb.tistory.com/58 https://blog.kubwa.co.kr/dtw-%EA%B8%B0%EB%B3%B8-%EC%84%A4%EB%AA%85-%EB%B0%8F-%EC%8B%A4%EC%8A%B5-%EC%BD%94%EB%93%9C-b333091d1e79 ==> 이 블로거가 논문 정리하는 것은 참 본 받을만함...

Camera data: Image correlation

참고문헌: 원격탐사개론, 동화기술 *화상 상관 (Image correlation) 화상 상관은 2개의 서로 다른 화상 중에 동일 대상물에 찍혀 있을 때, 두 개의 화상 상호 간에 대응하는 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되는 기술  활용: 스테레오 화상의 대응점 (tie point) 탐색         다른 일시에 촬영된 화상 기준점의 자동 인식 -Area matching : 한쪽 화상에 n x n 윈도우를 만들고 그 중심점에 대응하는 점을 오른쪽 화상 내에서 탐색한다. 탐색에 있어서는 오른쪽 화상 상에  n x n의 윈도우를 움직여서 윈도우 화상 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상호 상관이나 상관계수 식이 최대로 되는 점을 구한다.  -윈도우의 크기는 화상의 해석력이나 특징에 의해 선택된다.   항공사진 화상의 경우에는 9x9 로부터 21 x 21 윈도우가 자주 이용된다.  *처리의 고속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 제안 e.g.) Sequential Similarity Detection Algorithm (SSDA)   Metashape forum  Nice questions and answer https://www.agisoft.com/forum/index.php?topic=10730 https://www.agisoft.com/forum/index.php?topic=12781.msg56630#msg56630 Relationship between tie points and dense cloud from ChatGPT Certainly! Here's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how tie points are used to generate a denser point cloud representation: Tie Point Extraction: Initially, tie points are selected or extracted from multi...

Camera data: Ditigal Surface Model (DSM)

참고문헌: 원격탐사개론, 동화기술 Digital Terrain Model (DTM)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igital Surface Model (DSM)   *How to represent the geographical surface -지형 형상의 표현 방법 1. Contour 등간격의 높이를 가지는 등고선으로 지형을 표현 2. Mesh (격자 점 방법) 수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격자 점 의 표고 자료에 의해 지형 형상을 표현하는 방법. 격자 점 이외의 지점의 표고는 주위 격자 점의 표고 자료로부터 내삽한다.  3.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랜덤 점 방법) 수평면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점 의 수평 위치 좌표와 표고 자료에 의해 지형 형상을 표현하는방법. 랜덤한 지점 이외의 지점에 대한 표고는 근접한 랜덤 점의 표고 자료를 내삽한다.   4. Functional representation  지표면을 Spline 함수 등으로 곡면으로 표현하는 방법. -수치 지형 자료 작성방법 1. 측량: 지상 측량, 사진측량, 원격 탐사 2. 기존 지형 도에서 얻는 경우 기존의 지형도의 등고선을 읽어서 지형 표고 자료를 얻는 방법. 지형도 상의 격자점을 배치해서 격자점의 표고를 활용하는 방법 입체시 (Stereoscopy) 어떤 2지점으로부터 중첩 부분이 있도록 대상물(대상 지역)을 촬영한 2개의 화상(스테레오화상 : stereoscopic images)을 준비하고 왼쪽 화상을 왼쪽 눈으로, 오른쪽 화상을 오른쪽 눈으로 보면 대상물리 3차원으로 보인다. 이것을 입체시 (Stereoscopy)라고 한다.  Stereo mathching  Stereo parallax 시차 (parallax) : 입체경에 대상물의 입체 모상이 재현 되는 것은 대상물이 각각 좌우 화상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기록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 어긋남을 시차라고 한다. ...

2023 INQUA summer school

 Title  GPR and 3D trench to explore paleoseismological structures. Subject Undestanding landscape development from Quaternary fault movement based on 3D trench and GPR Research interest Active tectonics, Multiple exploration geophysics, Landscape evolution

GPR interpretation processing

 https://www.geoinsights.com/finding-the-best-attribute-combination-for-seismic-facies-classification/